본문 바로가기

간사이공항 하루카 특급열차 티켓 발권 방법

김쉐피 2024. 4. 7.
728x90
반응형

 

 
간사이공항에서 오사카 시내로 갈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로 하루카특급열차 또는 난카이라피트열차를 이용하는 것 같더라고요. 저희는 덴노지역 근처에 숙소를 예약했기 때문에 하루카특급열차를 이용했어요. 
 
위 특급열차들은 미리 우리나라에서 예약을 하는게 더 저렴해요. 저희는 마이리얼트립을 통해 하루카특급열차와 하루카스300 입장권이 포함된 티켓을 예약을 해서 왔어요. 1인당 금액은 17,074원이었어요. 도착하는 역에 따라 가격이 달라요.

그리고 오사카 시내에서 교토역으로 가는 것 보다 간사이공항에서 교토역으로 다이렉트로 가는 게 훨씬 저렴하더라고요. 우리나라에서 판매하는 티켓은 공항 기준으로 편도(간사이 공항▶교토역, 교토역▶간사이 공항)로 판매하기 때문에 오사카 시내에서 교토역으로 갈 경우 현장발매 밖에 할 수 없더라고요.

 

 

 
 

 

간사이공항 하루카 특급열차 발권 장소

 

 
세관신고를 마치고 입국장을 나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2층으로 이동해요. 2층으로 올라와서 오른쪽으로 와서 육교를 건너면 전철을 이용할 수 있는 간사이공항역으로 갈 수 있어요.
 

300x250

 

 
왼쪽 빨간색 구역은 난카이라피트 열차 발권하는 곳이고 오른쪽 JR로 쓰여진 파란색 구역이 난카이 특급열차를 발권하는 곳이에요. 무인발권기를 이용해도 되고 JR Ticket Office에서 유인으로 발권도 가능해요. 
 
 
 
 

 
파란색 구역에서도 두군데로 나뉘는데 왼쪽은 JR일반/급행전철을 발권하는 곳이고 오른쪽 녹색발권기가 사전에 예약한 티켓을 발권하고 교환하는 곳이에요.

 

반응형

 

 

간사이 공항 하루카 특급 열차 티켓 교환하는 방법

 

 

 

 

교토역 하루카 특급열차 발권 및 좌석지정 방법

오늘은 교토역 하루카 특급열차 티켓발권 하는 법과 좌석지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써보려고 해요. 여행 마지막날 교토역에서 간사이 공항으로 가기 위해 하루카 특급열차를 와그앱에서 미리 예

sokkup-nori.kr

 

 

 
평일에 도착해서 그런지 기다림 없이 바로 발권기를 이용할 수 있었어요. 발권기는 한국어로도 이용 가능하고 영어를 할 수 있는 직원이 있어서 큰 어려움 없이 발권이 가능해요.

첫 화면에서 다른건 누르지 말고 QR이 쓰여 있는 노란색 버튼을 누르고 바우처에 나와 있는 QR코드를 스캔, 그리고 여권을 스캔하면 발권을 할 수 있어요. 왕복으로 티켓을 예약했다면 꼭 간사이공항에서 전부 발권하는 걸 추천해요.
 
여권 스캔을 마치면 티켓과 영수증이 나오는데 작은 종이가 티켓이에요. 간사이공항이 출발역이라 굳이 좌석지정은 필요 없겠지만, 좌석지정 방법은 위 링크를 참고하세요.

 

 

하루카 특급열차 탑승

 

 
파란색 JR게이트로 들어가서 아래로 내려가면 플랫폼이 있어요. 4번플랫폼에 도착해 있는 하루카특급열차를 이용했어요. 5,6호차가 자유석이기 때문에 자리가 비어 있을 경우 아무 자리에 앉으면 돼요. 각 호차 앞 뒤로 캐리어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있고, 화장실은 전체 2개가 있어요. 좌석은 꽤 넓은 편이에요. 
 
자유석인 5호차에 앉았는데 나중에 확인해보니 마이리얼트립에서 이용한 티켓은 4호차의 빈자리에 앉아도 되더라고요. 4호차는 캠페인상품 전용의 호차라고 하네요. 티켓에 나와있는 숫자 4의 의미를 알게 된 순간이에요. 아마 미리 우리나라에서 예약한 티켓이 캠페인 상품에 해당하는 것 같아요. 
 
 하루카 특급열차를 이용하다보면 일본어로 된 방송이 계속 나오는데 어떤 분들은 내려야 하는 줄 알고 미리 일어나더라고요. 그러지 말고 구글맵으로 확인해 보세요. 실시간으로 위치를 알 수 있어서 미리 일어나지 않아도 돼요. 다른 전철 이용할 때도 유용하게 활용했어요.
 
가격은 비싼 편이긴 하지만 간사이 공항에서 오사카 시내로 그리고 교토역에서 간사이 공항으로 아주 편하게 이동 할 수 있어서 좋았네요.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댓글


    img[data-src] { opacity: 0; transition: opacity 0.3s ease-in-out; } img { opacity: 1; }